연구자2020. 4. 2. 17:50

유네스코(UNESC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는 교육·과학·문화·커뮤니케이션을 비롯한 지적활동 분야에서 국제 이해와 협력을 증진시켜 항구적인 세계평화를 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유네스코 본부는 프랑스 파리에 있으며, 전 세계에 걸쳐 53개의 지역사무소와 11개의 산하 기구를 두고 있다.

세계기록유산은 유네스코가 세계의 귀중한 기록물을 보존·활용하기 위해 선정하는 문화유산으로 인류가 길이 보존할만한 기록물을 대상으로 지정한다. 세계기록유산은 1997년부터 2년마다 국제자문위원회에서 심의·추천하고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선정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1997년 훈민정음과 조선왕조실록이 등재된 이후, 승정원일기, 불조직지심체요절, 조선왕조 의궤, 동의보감 등 현재 총 16개의 세계기록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2013618일에 등재된 새마을운동기록물은 1970년부터 1979년까지 한국에서 전개된 새마을운동과 관련한 대통령 연설문, 정부 기록문, 마을 자료, 편지, 설명서, 사진, 동영상 등 22천여 건의 자료들로, 국제사회에서 새마을운동이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논리적 근거가 되는 의미를 가진다. , 새마을운동이 국제사회 및 국제기구가 요구하는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에 부응하고, 개발도상국에 한국의 개발경험을 공유하는 개발모델로 새마을ODA를 보다 적극적인 수단으로 활용하며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중요한 논거가 된다.

새마을운동기록물은 1970년부터 1979년까지 대통령비서실, 중앙 및 지방행정 부처, 새마을지도자와 마을주민, 새마을지도자연수원 등에서 생산한 관련 자료들로 구성되어 있다. 새마을운동기록물은 새마을운동이 어떻게 계획되고 진행되었으며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가를 보여주는 자료이다. 대통령비서실과 중앙 및 지방 행정부처가 생산한 기록물은 대한민국 국가기록원에서 통합 보존하고 있으며 새마을지도자연수원, 새마을지도자, 마을 등이 생산한 기록물은 새마을운동중앙회에서 보존하고 있다.

대통령비서실에서 생산한 자료에는 새마을운동의 전반적인 계획과 실행과정을 설명하는 박정희 대통령의 수기 설명서, 비망록, 연설문, 보고서들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 및 지방행정 부처에서 생산한 자료는 새마을운동 실시과정에서 필요한 각종 문서와 새마을운동 시행 지원을 위해 제작한 홍보 및 교육 자료들로 구성되어 있다. 새마을지도자가 생산한 기록물은 성공사례와 편지, 기증서 등으로 특히 성공사례는 열악한 환경을 극복하고 마을 사업을 성공시킨 생생한 활동기록으로 다른 마을로 전파되어 새마을운동 성공 모델 확산에 기여했다. 마을 단위 생산 기록물은 마을규약, 마을회의록, 사업 계획서, 작업일지, 금전출납부, 결산보고서, 실적 대장 등과 같은 자료들로 새마을사업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새마을지도자연수원 생산 기록물은 새마을 교육 관련 자료이며, 교재 원고, 성공사례 슬라이드, 강의 녹음테이프, 수료생 명부, 생활기록부, 분임토의 차트, 새마을운동 관계자들의 구술 자료 등이 있다.

새마을운동기록물은 빈곤 감소, 농촌지역 근대화, 여성 지위 향상, 기아 극복을 목표로 하는 국제개발 기관들과 개발도상국 정부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되었다. 새마을운동기록물은 새마을운동 실행 절차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성공 요인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기 때문에 개발도상국 정책 입안자, 연구자, 지역사회개발 실천가들에게 참고자료가 되고 있다.

한국이 새마을운동으로 단기간에 이룩한 농촌 빈곤감소, 과학적 영농법, 여성의 지위 향상, 농촌 근대화 등의 성과로 인해 국제사회로부터 빈곤퇴치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유엔개발계획(UNDP)에서는 우리나라와 새마을운동을 모델화하여 개발도상국에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새로운 커뮤니티를 향한 새마을 이니셔티브(Saemaul Initiative: Towards Inclusive and Sustainable New Communities)’를 추진하고 있으며, 세계식량계획(WFP)에서는 기아 및 빈곤퇴치를 위한 사업프로그램에 새마을운동을 연계하여 네팔과 르완다에서 시범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새마을운동은 한국의 고유 브랜드이며,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과 책임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컨텐츠가 되었다. 그리고 개발도상국에 대한 새마을운동의 전수가 외국인에 대한 새마을교육과 새마을운동 공적개발원조(ODA)의 형태로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글로벌새마을운동은 개발도상국의 국가발전정책으로 새마을 국제개발협력 사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국제사회에서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연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 발전을 위한 하향식 개발과 상향식 개발 논리의 비교  (0) 2020.06.12
뉴스의 특성  (0) 2020.04.02
지역사회개발과 새마을운동  (0) 2020.04.02
지역사회개발  (0) 2020.04.02
노인 일자리 정책  (0) 2020.03.18
Posted by Joojaps